linux ssh,
linux ssh key,
linux ssh key 접속,
raspberry pi ssh,
raspberry pi ssh key,
raspberry ssh,
raspberry ssh key,
ssh key,
SSH 접속,
라즈베리파이 ssh,
라즈베리파이 ssh key
반응형
리눅스에서 ssh key로 접속하는 방법이다.
이 글은 현재 윈도우에서 ssh key가 생성되어있다는 가정하에 쓴 글이다.
1. 서버에서 .ssh 폴더가 있는지 확인한다.
ls ~/.ssh
없다면 만들어 준다.
mkdir .ssh
2. 만들었으면 이제 현재 윈도우에서 가지고있는 public_key를 등록해주어야 한다.
등록하기 위해선 아래처럼 authorized_keys를 생성하여 등록한다.
cd .ssh vim authorized_keys
3. 등록하였으면 이제 putty 또는 xshell로 접속할 때 ssh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인식한다.
4. 이제 ssh키로만 접속할 수 있도록 비밀번호 접근은 못하게 막을 것이다.
관리자로 접속하여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
sudo -s vim /etc/ssh/sshd_config
5. 아래 사진에 나와있는 PasswordAuthentication 을 찾아 no로 변경한다.
처음에는 주석처리로 되어있고 yes로 되어있을 것이다.
6. 이제 이렇게 하면 패스워드로 접근할 경우 아래의 사진처럼 비활성화가 되며 자동으로 ssh로만 접근할 수 있게 한다.(xhell의 경우)
반응형
'Develop > 기타 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xus bulk upload (Nexus 대량 업로드) (0) | 2020.12.05 |
---|---|
이클립스 설치 에러들(ERROR: org.eclipse.equinox.p2.engine code=4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org.eclipse.equinox.internal.p2.engine.phases.CheckTrust phase, please choose another workspace as) (1) | 2020.02.18 |
[Redis] Redis Windows 설치 및 간단한 명령어 (0) | 2019.04.22 |
[BOJ 12865 평범한 배낭] 배낭채우기, Knapsack 알고리즘 (0) | 2019.04.12 |
[linux] 리눅스 ssh key연결(윈도우에서 연결) (0) | 2019.01.29 |
[아파치] AB(Apache HTTP server benchmarking tool)를 이용한 테스트 (0) | 2018.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