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ython - 2023.04.27 - [Develop/Python] - Python Package Nexus Upload (whl 파일, Offline 환경)

 

오프라인 서버에 Nexus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Nexus Repository에 Maven 라이브러리들을 대량 업로드할 필요가 있다.

shell script를 이용한방법과 proxy repository를 이용한 방법이있다.

 

 

1. Shell Script를 이용한 방법.

1.1 mavenimport.sh

아래의 주소에 접속해서 Nexus 설치 서버에 mavenimport.sh를 다운받는다.

github.com/sonatype-nexus-community/nexus-repository-import-scripts

 

sonatype-nexus-community/nexus-repository-import-scripts

A few scripts for importing artifacts into Nexus Repository - sonatype-nexus-community/nexus-repository-import-scripts

github.com

 

1.2 Repository 이동

Window라면 User/.m2/repository에 있는 Maven폴더들을 Nexus가 설치되어 있는 서버에 옮긴다.

아래와 같이 mavenimport.sh와 같은 위치에 라이브러리들을 위치시킨다.

1.3 명령어 실행

넥서스 계정과 비밀번호 및 IP와 PORT 저장할 repository들을 지정하고 실행한다.

./mavenimport.sh -u ID -p PASSWORD -r http://IP:PORT/repository/maven-releases/

실행 후 Nexus 저장소를 확인하면 라이브러리들이 들어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Proxy Repository를 이용하는 방법

2.1 Local Server 또는 Online Server에 Nexus 설치

인터넷이 되는 서버에 Nexus를 먼저 설치한다.

 

 

2.2 Proxy Repository 생성

Offline으로 Nexus가 설치되어 있는 서버에 maven2 (proxy) 저장소를 생성한다.

생성하는 항목의 Remote storage 부분에 인터넷이 되는 서버의 Nexus Maven Central Repository 또는 이미 사용하고 있는 저장소의 URL을 입력한다.

 

2.3 Settings.xml 설정

Maven Settings.xml을 설정한다 Window일 경우 User/.m2/ 폴더에 있다. 만약 없으면 아래와 같이 생성한다.

<settings xmlns="http://maven.apache.org/SETTINGS/1.0.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maven.apache.org/SETTINGS/1.0.0
                      http://maven.apache.org/xsd/settings-1.0.0.xsd">


</settings>

생성하였으면, 아래와 같이 <server> 와 <mirror>를 설정한다.

1. <servers>

<id>에는 <mirror>에 입력할 id 이므로 적절하게 사용한다.

<username>은 Nexus 아이디이다. Nexus에 anonymous가 허용되어있다면 입력해도 무관하다.

<password>는 Nexus 아이디의 비밀번호이다.

 

2. <mirros>

<id> 에는 위에 생성한 id를 입력한다

<name> 은 저장소의 설명이다.

<url> 에는 위에서 생성한 Offline Nexus Server의 maven2 (proxy) URL을 입력하면 된다.

<settings xmlns="http://maven.apache.org/SETTINGS/1.0.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maven.apache.org/SETTINGS/1.0.0
                      http://maven.apache.org/xsd/settings-1.0.0.xsd">


 <servers>
    <server>
      <id>nexus</id>
      <username> </username>
      <password> </password>
    </server>
  
  </servers>

  <mirrors>
    <mirror>
      <id>nexus</id>
      <name>nexus</name>
      <url>http://주소:8081/repository/home/</url>
      <mirrorOf>*</mirrorOf>
    </mirror>
  </mirrors>

</settings>

 

설정 후 프로젝트에 Maven Dependency를 추가하거나 Jenkins 빌드를 하게 되면 자동으로 Nexus에 라이브러리들이 업로드되어 Nexus Repository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2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 적절히 사용하면 될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1. Local Tomcat 설정

1.1 Tomcat 폴더의 server.xml 설정

1.1.1 GlobalNamingResources 추가

driverClassName엔 사용하는 드라이버를 입력하면된다.

오라클일 경우 : oracle.jdbc.driver.OracleDriver 등.

global과, name 변수에는 똑같은 이름을 넣어준다. 

url이 오라클일 경우 : jdbc:oracle:thin:@IP:PORT:스키마이름

<GlobalNamingResources>

...

<Resource 
auth="Container" 
driverClassName="com.mysql.jdbc.Driver" // mysql, oracle, mariadb, tibero 등등 드라이버입력 
global="global과 name 똑같은 이름" 
maxActive="8"
maxIdle="8" 
maxWait="-1" 
minIdle="0" 
name="global과 name 똑같은 이름" 
password="DB패스워드" 
type="javax.sql.DataSource" url="jdbc:mysql://localhost:3306/myDB" username="DB아이디"/>

</GlobalNamingResources>

 

1.2 Tomcat 폴더의 context.xml 설정

1.2.1 ResourceLink 추가

name과 global 변수엔 server.xml에서 설정한 name,과 global 이름을 똑같이 넣는다.

<Context>

...
<ResourceLink name="위에 설정한 name, global이름과 동일" global="위에 설정한 name, global이름과 동일"
		auth="Container" type="javax.sql.DataSource" />

</Context

 

2. 개발 프로젝트(Eclipse 설정)

2.1 xml 파일에 설정

2.1.1 root-context.xml or context-datasource.xml

root-context.xml 또는 context-datasource.xml에 기존 DB접근하는 설정들을 지우거나 주석처리하고 아래의 코드를 추가한다.

또한, <value>에는 java:comp/env/jdbc/를 붙이고 server.xml에서 설정한 name, global이름과 동일하게 작성한다.

ex) server.xml에서 설정한 이름이 test라면 - java:comp/env/jdbc/test 

<bean id="dataSource"
		class="org.springframework.jndi.JndiObjectFactoryBean">
		<property name="jndiName">
			<value>java:comp/env/jdbc/name,global 이름과 동일</value>
		</property>
</bean>

 

3. 에러 발생 시 처리

3.1 DB Connection 에러

3.1.1 DB connector lib 가 없을 경우

만약 실행 시 connector에러가 발생한다면, Tomcat 폴더에 각 DB의 connector 라이브러리를 추가한다.

톰캣의 lib폴더에 접근한다.

경로 - apache-tomcat-8.5.59\lib

MySQL을 사용한다면 아래의 jar 파일을 톰캣의 lib폴더에 넣는다.

MySQL - mysql-connector-java.jar

 

 

3.2 UserDatabaseRealm 에러

3.2.1 org.apache.catalina.realm.UserDatabaseRealm Start 에러

만약 시작시 org.apache.catalina.realm.UserDatabaseRealm Start 에러가 발생한다면

Tomcat의 server.xml에 Realm부분의 className="org.apache.catalina.realm.UserDatabaseRealm" 을 아래와 같이 주석 처리한다.

<Realm className="org.apache.catalina.realm.LockOutRealm">
<!-- <Realm className="org.apache.catalina.realm.UserDatabaseRealm" -->
<!-- resourceName="UserDatabase" /> -->
</Realm>

 

반응형
반응형

개인적으로 개발하면서 자주사용하는 기본적인 JavaJavascript HTML DOM Methods 들이다.

이런게 있다로 정리만하고, 예제 사이트들이 충분히 많아 사이트로 대체.

 

1. document.getElementById(id);

일치하는 id 속성을 가진 요소를 찾는 문법.

 

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Document/getElementById

 

2. document.querySelector(selectors);

html 태그 및 생성한 CSS 클래스명으로 요소를 찾는 문법 (성능 문제 발생)

 

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Document/querySelector

 

3. document.getElementsByTagName(name);

html 태그로 요소를 찾는 문법

 

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Document/getElementsByTagName

 

4.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names)

태그의 클래스명으로 요소를 찾는 문법

 

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Element/getElementsByClassName

 

5. element.classList;

요소에 적용된 클래스들을 반환, add, remove, contains 이외 여러 문법을 사용할 수 있다.

 

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Element/classList

 

6. node.parentNode

선택한 요소의 부모 Node(html태그)를 선택할 수 있다.

 

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Node/parentNode

 

7. node.childNodes; 

선택한 요소의 자식 Node(html태그)를 선택할 수 있다.

 

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Node/childNodes

 

8. element.tagName;

선택한 요소의 태그명을 가져올 수 있다.

 

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Element/tagName

반응형

'Develop > JavaScript/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로 CSS 추가  (0) 2023.11.07
a태그안에 a태그  (1) 2020.10.26
CSS - Selector, Combinators(선택자, 결합자(space, >, +, ~))  (0) 2020.01.22

+ Recent posts